2008년 4월 11일 금요일

Korean in Space 5-1


정선생이 링크를 걸어주어 접하게된 한겨레 21에 게재된 평론

비좁은 지면에도 불구하고 비판적이면서 냉정한 시각을 유지하고 성찰을 촉발하고자하는 필자의 노력에는 경의를 표하지만....하나 아쉬운 점이 있다.

좀 급진적으로 표현해서 "'우리'에게 우주인이 필요한가?"라는 그의 질문에..."우리"가 없다. 우주개발활동은 "우리"에게 필요했던 적이 없고, 나아가 좀더 일반적으로는 과학이라고 불리우는 인간의 지식생산 및 유통활동도 "우리"에게 필요했던 적은 없다. 그러나 그렇게 얘기되어왔다. 그것이 사후적으로 평가하기에 적나라한 역사적 조작극이었던 아니면 좀더 유해하지 않아보이는 형태이던 간에...

저자가 의도한 바는 아니라고 믿고 싶지만...마찬가지로 어제나 그렇듯 "'국민적' 합의"에 '국민'은 없다. 포퓰리즘을 경계하고자 글을 시작하면서도...종국에는 또다른 포퓰리스트적인 경향이 슬쩍 보이게 되는 것은 왜일까? 나는 오히려 그의 글에 드러난 "우리"라는 범주가 더 관심이 간다. 이 내용없으면서도 구체적인 (?!) 개념인 "우리" (다른 말로하면 이러한 대명사는 Indexical Expression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를 가지고 우리는 무엇을 하는 것일까? (What to do things with words?)

"우리"는 한국인들이 정말 자주 쓰는 대명사이다. 친구를 만나서 집에 함께 가자고 할 때도 내집에 가자가 아니라 우리집에 가자고 하고...외동아들이면서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어머니를 지칭할 때 우리엄마라고 하고...우리 할아버지....우리나라....우리지역구...도대체 한국인은 "우리"를 가지고 무엇을 하는 것일까?

댓글 3개:

정광진 :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정광진 :

Hm. 'sociology of naming'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그런게 필요할 것 같은데, 있을까? 아니면 'semantic inclusion/exclusion'? 어때? 프로젝트 제목으로 그럴듯 하겠다. '우리'가 의미하는 건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 문법책 혹은 사전에서 '우리'는 내가 포함된 둘 이상의 무리를 지칭하니까. 하지만 독자가 '우리 엄마'라고 할 때 그 '우리'는? 이 초문법적 '우리'의 정체는? 장선생께서 이 문제를 해결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irgendwann...

JGJ :

ㅋㅋ...보시고 덧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상 프로젝트 이름 멋집니다. (:))
지적하신대로 "우리"라는 (Indexical Expression: 사실 우리의 언어 및 비 언어적 활동들이 모두 Indexical하다고 봅니다만...) 대명사는 맥락에 따라 한편으로는 발화자에 의해서 "다른"의미를 갖는 것일테고 다른 한편으로 청자에 의해서도 "다르게" 받아들여지거나 해석될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언젠가 정선생님의 블로그에서도 언급하셨듯이 이 발화자와 청자사이의 (있음직한 :)) 의미에 있어서의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이 "우리"라는 단어가 "구체적"인 행위"상황" (그것이 텍스트적 행위가 되었든 아니면 대면적 상호작용상황이 되었든)에서 민속방법론적인 표현을 빌리자면 For all practical purpose (우리말로 해완전히 의역해서 해석하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이 되도록 만드는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또, 그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요구 (영어로 repair에 대한 요구라고 해도 되겠네요. 그런데 그러한 repair에 대한 요구는 직접적이로 "네가 의미하는 것이 뭐지?"라는 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지만, 청자가 자신이 이전 화자의 발화를 이해한데 기반해서 다음행위를 함으로써, 즉, 자신의 화자의 발화에 대한 이해를 드러냄으로써 간접적으로 요구되기도 합니다. 예를들면 집에 늦게 들어간 아이에게 어머니가 "지금 몇시냐?"라고 했는데 아이가 "지금 7시인데요"라고 한뒤 어머니께서 "내가 지금 너에게 시간 물어봤니?"라고 하는 뭐 그런 상황이 한 예가 되겠습니다.) 되지 않는한 그렇게 사용된다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링크해주신 글에서 말하는 "우리"는 아마도 이번 행사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일회성 이벤트 족들로 낙인찍힌 그룹을 제외한 (혹은 그들까지 포함한) 나머지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필자도 그렇고 독자도 그렇고 이 글의 맥락에서 "우리"가 의미하는 바를 for all practical purpose 적절하게 구성해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즉, 문법적 구성요소로서의 "우리"는 추상적이고 포괄적이지만 구체적 (텍스트적) 맥락에서의 "우리"는 사회적인 지형도를 그려내는 우리의 (인지적)활동과 결부되어 있고 특정한 현상과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 (여기서는 이소연이라는 사람이 우주정거장을 방문한 것과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 및 조직적 행위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 심지어 도덕적인 함의까지 내포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