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최근 때아닌 환율 반등으로 그저 내가 얼마만큼의 송금을 받게 될 것인가를 가늠해 보기위해 (TT) 거의 매일 환율 관련 기사들을 좀 훑어보다보니 이 바닥에서 얘기되는 방식에 대해 조금 엿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지표들은 통상 현재의 상황에 대한 일종의 요약적인 (그리고 추상적인) 묘사임과 동시에 제 경제 행위자들에 의해서 과거의 경제행위들을 분석하고 "이후의 경제행위들을 계획하는데" 사용된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여기 하나 흥미로운 지점은 바로 이 지표에 있어서의 변화 (이 경우는 환율인데)에 대한 해석을 놓고, 즉 무엇이 이 지표에 있어서의 변화를 가져왔는가에 대한 해석을 놓고 또다른 종류의 "지표들"이 (이 지표들은 거의 우리의 일상적으로 이론화된 사회와 문화에 대한 지식에 가까운 것인데...) 사용된다는 점이다. 즉, ....로 미루어 당국의 개입이 있었네 (여기서 ....가 어떤 추론을 가능하도록 만드는 지표(Index)가 될 것이다.) 혹은 ....를 미루어 ....회사들의 외환매입이 있었네... 등등이다. 특히나 환율은 경제행위자들의 다음 행위에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예측이 중요할 텐데, 이 다음 행위를 계획함에 있어서 당국자의 발언에 대한 "해석"에 기반한 "정부의 의지"를 좀더 장기적인 정부의 "경제계획"안에 위치지우는 일종의 Contextualisation 행위들이 눈에 띈다. 재미 있는 것은 현재의 경제상황을 이해가능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이러한 구조적인 측면들이 일종의 설명의 자원들로 통원될 뿐 아니라 이러한 설명 (혹은 좀 더 포괄적으로는 이해가능하도록 만들기 혹은 특정 현상에 대해 말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마들기) 행위들에 의해서 어떻게 하나의 경제체계가 구조화되어 있는지가 "특정한 맥락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그 모습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설명이나 예측이 맞지 않았을 경우 그를 위한 인과적인 연쇄가 유동적으로 확장 혹은 재구성 되어 나가는 과정들을 고찰한다면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일상적) 추론의 occasional한 그리고 국지적인 (local) 특성들이 좀 더 잘 드러날 것이다.
이것은 일견 매우 당연하고 사소한 발견 아닌 발견으로 보이지만...이것은 우리가 사회학자들이 통상 가지고 있는 가정, 즉, 일반인들과 사회학자들이 사회가 질서있고 구조화되어 있는 그 무엇인가로 느끼는 것은 (궁극적으로) 그 사회 자체가 하나의 대상으로서 질서 있고 구조화 된 것이기 때문이라는 가정을 다시한번 생각해 보도록 만든다. 즉, 대상세계로서의 사회의 구조화된 혹은 질서잡힌 성격이 우리의 (즉, 일반인 및 사회학자의) Practical Reasoning 을 통한 "사회 및 현상을 이해가능하고, 설명가능하고 아뭏든 그것에 대해서 이야기 가능하도록 만들기 활동"과 구분해서, 즉, 인과적으로 독립적인 것인가를 다시한번 질문해 볼 필요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